현금성 가족정책 지출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1%p(포인트) 증가하면 합계출산율은 0.06명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출산 관련 지표의 국제 비교와 가족정책 지출의 효과성 분석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현금성 가족정책 지출 비중의 증가 필요성은 있지만, 정책 효과 및 한계 등을 고려해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유연근로제 확대 등 노동시장 제도개선 방안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가족정책에 대한 공공지출은 지난 20년 동안 증가한 모습을 보였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와 비교할 때는 아직도 낮은 수준”이라며 “특히 우리나라의 현금성 가족정책 지출은 GDP 대비 0.32% 수준이며 OECD 조사 대상 38개국 가운데 34위로 최하위권”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현물성 가족정책 지출은 현금성 가족정책 지출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2019년 우리나라 현물성 가족정책 지출은 GDP 대비 1.05%로 증가하면서 OECD 조사 대상 38개국 가운데 14위를 차지해 OECD 평균(0.9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가족정책 지출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패널회귀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실증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현금성 가족정책 지출이 GDP 대비 1%p 증가하면 출산율은 약 0.064명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보고서는 현금성 가족정책 지출이 합계출산율을 높이는 데 드는 비용 대비 효과성을 우려했다.
우리나라의 2020년 현금성 가족정책 지출은 GDP 대비 0.46% 수준인데 1%p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3배 넘게(0.46%→1.46%) 현금성 가족정책 지출을 늘려야 하지만 출산율 증가는 0.06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현금성 가족정책 지출이 출산율 제고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출 확대를 위해서는 정책의 효과성, 재원 마련 방안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노동시장 제도개선 방안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유진성 한경협 한국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실증분석에서 남성 고용률의 증가와 여성의 30시간 미만 일자리 비율의 증가가 출산율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노동시장 제도개선을 통해서 출산율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남성의 고용률을 늘리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이 중요한 만큼 고용의 유연성을 제고해 기업의 일자리 창출 여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근로시간의 유연성을 확대하고 다양한 근무 형태를 도입해 여성의 일·가정 양립이 가능한 근로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성태 마켓뉴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