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향후 5년간 신기술 분야에서 인력이 부족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고용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지난달 31일 ‘제4차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을 개최해 신기술 분야 업계의 인력 현황과 원활한 인력수급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포럼에 앞서 고용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인공지능(AI) ▲ 클라우드 ▲빅데이터 ▲ 나노 총 4개 분야에 대한 27년까지의 인력수급 전망 결과를 발표했다. 전망 결과는 과기부, 산업부 등이 실시한 산업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인력전망모형을 활용해 인력수요를 도출한 자료다. 정부‧민간‧대학의 인력양성 현황과 계획을 토대로 인력공급을 분석해 향후 5년간(23~27년)의 수준별(초‧중‧고) 신규 인력 수요‧공급과 수급차를 전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AI분야의 인력수급 전망은 1만2800명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연구개발(R&D)’ 등 고급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의료・금융・제조・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활용 확대와 국제적으로 AI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으로 고급 인력 해외 유출 우려 등 고급 수준 인력난이 심화할 것으로 분석했다.
클라우드분야는 운영부터 개발 전반의 인력수요 증가로 1만8800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서버·소프트웨어 등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 및 지속적인 시장 성장으로 인력 부족 심화하고 특히 서버의 관리・보수 등을 위한 운영인력과 시스템 개발인력 모두 부족한 상황이라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빅데이터분야는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최근 전 산업으로 확산하면서 분야별 전문지식을 겸비한 고급 데이터 인력에 대한 수요가 확대할 것으로 예측하며 1만9600명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나노분야는 단독 상업화는 어렵지만 디스플레이‧에너지‧환경‧바이오헬스‧소재 등 첨단분야의 성장으로 응용․복합 나노 기술 인력의 수요가 크게 증가해 8400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황성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미래인재연구본부장은 “전망결과와 현장의 실제 수급차 간 비교・분석 등 전망기법을 계속 고도화하고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에서 나온 기업 현장의 의견이 정부 인력양성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성호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은 “정부는 신기술 분야 인력수급 전망결과를 K-디지털 트레이닝 등 정부 훈련사업의 규모와 내용 등에 적극 반영하고, 범부처 ‘첨단산업 인재양성TF’를 통해 관련 부처와 함께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청년층에 적합한 근로 여건, 조직문화 등을 기업 스스로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성태 마켓뉴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