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 일대, 2023년 UAM 이착륙장 갖춘 미래교통 허브로 탈바꿈
상태바
김포공항 일대, 2023년 UAM 이착륙장 갖춘 미래교통 허브로 탈바꿈
  • 김성태 기자
  • 승인 2024.09.09 16: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김포공항 혁신지구’ 지정고시... 2조9000억원 투입 근거 마련·개발 본격화
UAM 이착륙장 등 복합환승시설 조감도. 사진=서울시

2030년 서울 김포공항 일대에 도심항공교통(UAM) 이착륙장과 복합환승시설이 준공돼 본격 ‘UAM 시대’가 열린다.

서울시는 9일 강서구 공항동 김포공항 일대 35.4만㎡가 ‘김포공항 혁신지구’로 지정돼 미래 교통 허브로 본격 개발된다고 밝혔다. 시는 사업비 투입의 법적 근거가 마련된 만큼 사업시행자인 한국공항공사와 함께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시에 따르면, 김포공항 혁신지구는 ▲국‧시비 100억원 ▲한국공항공사 등 공공 490억원 ▲민간 2조9050억원 등 총 사업비 2조964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8층 규모 복합시설로 조성되는 혁신지구는 전체 면적 35만㎡에 3개 블록이 조성된다. 1블록에는 UAM 등 이착륙장 및 복합환승시설이 들어서고 2블록은 항공업무시설, 3블록은 첨단산업시설 중심으로 조성된다.

혁신지구 개발이 마무리되는 2033년 이후 김포공항은 UAM 이착륙장‧S-BRT(간선급행버스) 등 신규 복합환승시설과 기존 도심 공항 인프라가 연계된 혁신 신산업 허브로 변모할 예정이다. 3만여 개의 일자리와 약 4조원에 이르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시는 전망하고 있다. 또 정부‧시 UAM 상용화의 기반 조성의 토대를 닦아 국내 항공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공항과 연계된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으로 발생한 개발이익을 지역에 재투자해 공공․체육‧보육시설 등 지역에 부족한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생활 SOC)을 확충할 방침이다. 또한 일자리를 창출, 항공소음 피해‧건축규제 등으로 소외됐던 지역과의 상생을 끌어낸다는 계획이다.

김포공항 혁신지구 1블록은 2030년, 2·3블록은 2033년 준공을 목표로 내년도 혁신지구 기본계획 수립, 2026년 건축설계, 2027년 사업 시행계획 인가를 받아 순차적으로 착공에 들어간다.

시는 혁신지구 지정으로 본격적인 김포공항 일대 개발을 위한 동력이 확보되었을 뿐 아니라 국토교통부의 공간혁신구역 후보지 일명 ‘화이트존(White Zone)’에도 선정되면서 자유로운 개발이 가능해 진 만큼 사업 추진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7월 1일 국토부가 선정한 ‘공간혁신구역’은 용도지역 내 용도·건폐율·용적률 등 건축규제를 완화해 민간의 자유로운 개발을 유도하는 제도다.

김승원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그간 공항시설로 인해 개발 제한, 주변 지역과의 단절 등을 겪었던 김포공항 인근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개발이익 환원을 이뤄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김포공항 일대가 미래교통 허브이자 첨단산업 중심의 경제활력 도시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사업을 힘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우진 마켓뉴스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